Scope, Lexical Scope

스코프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자신이 유효한 범위가 생긴다.
이것은 다른 코드가 변수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범위가 된다.

함수의 매개변수나 함수 내부에서 선언한 변수는 함수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다.

함수 내부와 외부에 동일한 이름의 변수가 있다고 하여도 이 두 변수는 식별자의 이름만 같은 다른 변수이다.

즉, 스코프가 다른 별개의 변수이다.

만약 스코프의 개념이 없으면 프로그램 전체에서 각 변수의 명은 하나씩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스코프의 종류

코드는 전역(global)과 지역(local)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자신이 유효한 범위인 스코프가 결정된다.
즉,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 스코프를 갖는 전역 변수이고, 지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 지역 변수이다.

전역 스코프

전역 변수는 전역 스코프를 갖는 변수이다.
전역 변수는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다.

즉, 전역 변수는 전역 스코프에서 유효하다.

지역 스코프

지역이란 함수 몸체 내부를 의미한다.
지역은 지역 스코프를 만든다.

지역 변수를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 변수이다.

즉, 지역 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하다.

스코프 체인

함수는 중첩될 수 있으므로 지역 스코프도 중첩될 수 있다.
스코프는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측적 구조를 갖는다.

중첩 함수의 지역 스코프는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와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를 중첩 함수의 상위 스코프라고 한다.

이렇게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스코프 체인이라고 부른다.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즉, 식별자를 검색하는 규칙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렉시컬 스코프

스코프의 결정은 두 가지 패턴이 존재한다.

  •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가
  • 함수를 어디서 정의 했는가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을 동적 스코프라고 한다.

어디서 정의 했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을 렉시컬 스코프 또는 정적 스코프라고 한다.

동적 스코프 방식은 함수를 호출하는 위치에 따라 스코프가 변화하지만 렉시컬 스코프는 어디서 호출하던지 정의된 위치에 따라 스코프가 고정된다.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닌 어디서 정의 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가 결정된다.

이것은 모든 함수 정의가 평가되어 객체를 생성할 때,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를 기억하는 것이다.
그리고 함수가 호출되면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를 상위 스코프로 사용한다.

이것은 결국 클로저가 되는 것이다.

클로저란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함수는 자신의 상위 스코프를 기억한다. 모든 함수가 기억하는 상위 스코프는 함수를 어디서 호출하던지 상관없이 유지된다.
따라서 함수를 어디서 호출하던지 상관없이 함수는 언제나 자신이 기억하는 상위 스코프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으며 스코프의 변수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자신이 평가될 때 자신이 정의된 시점의 상위스코프를 저장하고 함수 자신이 존재하는한 이 저장된 상위 스코프는 유지가 된다.

이론적으론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함수는 상위 스코프를 기억하므로 모든 함수는 클로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든 함수를 클로저라고 하지 않는다.

클로저는 중첩 함수가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하고 있고 중첩 함수가 외부 함수보다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에 한정한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