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역 변수의 문제점과 var 변수의 문제점

전역 변수의 문제점

전역 변수의 생명주기

변수는 선언에 의해 생성되고 할당을 통해 값을 갖는다. 그리고 소멸한다.

즉, 변수는 생성과 소멸의 생명주기가 있다.
이 생명 주기가 없다면 한 번 선언된 변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는 한 영원히 메모리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서 생성되고 소멸하는데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와 같다.

자바스크립트는 진입점이 없고 코드가 로드되자마자 곧바로 해석되고 실행된다.

함수는 몸체이 마지막 또는 return문이 실행되면 종료한다. 하지만 전역 코드는 마지막 문이 실행되어 더 이상 실행할 문이 없어도 함수처럼 종료되지 않는다.

전역 코드의 종료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와 마찬가지로 더 이상 이벤트에 대응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역 변수는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때 까지 유효하다.

즉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

이에 반해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함수의 생명주기와 같다.


전역 변수의 문제

  • 암묵적 결합
    : 전역 변수를 사용하는 의도는 코드 어디에서나 전역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코드가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변경 할 수 있는 암묵적 결합(implicit coupling)을 허용하는 것으로 변수의 유효 범위가 크면 클 수록 코드의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위험성도 높아진다.

  • 긴 생명주기
    : 전역 변수는 생명주기가 길다.
    전역 변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시간도 길고, 모든 함수가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상태를 변경할 기회도 많다.
    또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시간 소비된다.
    var 키워드는 변수의 중복 선언을 허용하므로 생명 주기가 긴 전역 변수는 변수명이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변수명이 중복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이 이루어진다.

  •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에서 가장 종점에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변수를 검색할 때 전역 변수는 가장 마지막에 검색되어 검색 속도가 가장 느리다.
    이는 큰 차이는 아니지만 분명히 속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 네임 스페이스 오염
    : 자바스크립트는 파일이 분산되어 있어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를 공유한다.
    따라서 다른 파일 내에 동일한 이름으로 명명된 전역 변수나 함수가 존재하여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만들 수 있다.


var 키워드

ES5까지는 변수를 선언할 유일한 방법이 var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여러 특징이 있고 이 특징은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변수 중복 선언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를 다시 var 키워드로 선언을 하면 javascript는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나중에 선언한 변수 선언문은 var 키워드가 없는 것 처럼 동작한다.

이미 선언한 변수명을 모르고 다시 선언하여 할당한다면 의도치 않게 값이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함수 레벨 스코프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 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따라서 함수 외부에서 선언한 변수는 모두 전역 변수이다.

for문에서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여 사용하면 for문이 종료되어도 여전히 변수는 전역 변수로 존재하게 된다.

함수 레벨 스코프는 전역 변수를 남발할 가능성을 높이고 이로 인하여 전역 변수가 중복 선언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변수 호이스팅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 처럼 동작한다. 즉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가 가능하다.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는 것은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지만 프로그램의 흐름상 맞지 않고 가독성을 떨어트린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